'제1차 한-러 지방협력포럼' 추진상황 보고회 참석자들이 행사의 성공적인 개최를 다짐하고 있다(사진=포항시 제공)
'제1차 한-러 지방협력 포럼' 개최를 한 달가량 앞두고 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본격적인 준비가 시작됐다.
포항시와 경북도는 10일 포스코 국제관에서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을 비롯해 외교부, 유관기관 및 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한-러 지방협력포럼' 추진상황 보고회를 열고 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를 다짐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경북도지사와 포항시장을 공동 위원장으로 유관기관과 단체, 각계 전문가, 시민 등 32명을 포럼 추진위원으로 위촉했다.
이어 그동안의 추진사항과 남은 기간 중점적으로 추진할 사항을 점검했다.
'한-러 지방협력포럼'은 지난해 9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린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한국과 러시아 지역의 공동발전과 협력 촉진을 위해 매년 양국이 번갈아 개최하기로 합의하면서 본격화됐고, 제1차 포럼 개최지로 포항이 선정됐다.
'한-러 지방협력포럼'은 다음달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포항시 일원에서 열린다.
'함께하는 한-러, 함께여는 미래'를 주제로 한국 17개 시·도지사와 러시아 극동지역 9개 주지사 등 양국 26개 지방정부 대표와 기업인, 전문가가 참석해 양국 지방정부 간 물류, 철도, 관광 등 교류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주요행사는 한-러 26개 지방정부 대표가 참석해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지방정부 서밋'과 국내외 주요인사, 기관단체장, 시민 등이 참여하는 '한-러 지방협력포럼 출범식', 한-러 간 경제·통상, 교육·과학, 문화·관광 등 각 분야별 실질적인 공동번영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비즈니스·전문가·청년 포럼' 등이 있다.
한-러 지방 간 양자회담, 무역상담회, 전야제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린다.
포항시와 경북도는 포럼이 성공적으로 치러질 경우 지난해 9월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러시아에 제안한 9-브릿지 협력사업인 철도, 전력, 가스, 조선, 항만, 북극항로, 일자리, 농업, 수산업 분야에서 양국 간 교류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를 통하여 포항이 글로벌 도시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무엇보다 지진과 철강경기 침체로 위축된 지역에 희망과 활력을 불어넣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제1차 한-러 지방협력포럼은 한-러 간 지방 상생의 미래를 여는 첫 걸음이자 경북도가 북방경제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기회"라며 "동해안권 물류, 항만, 관광, 철도 활성화는 물론 경북도가 정부 신북방정책의 전초기지로 자리매김하는 계기로 삼자"고 말했다.
한편, 이번 포럼에 참가하는 러시아 극동연방 9개 연방주체는 연해주, 하바롭스크주, 아무르주, 사할린주, 캄차카주, 사하공하국, 마가단주, 추쿠트자치주, 유대인자치주이다. 이들 지역 인구는 646만명으로 러시아 전체 1억4200만명 가운데 4.6%를 차지하고 있으나 면적은 615만㎢로 러시아 전체 108만㎢의 36%(한반도의 28배)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으로 목재와 천연가스, 석탄, 철광석 등 지하자원이 풍부해 한반도의 새로운 성장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