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환경공단-원자력연구원 '고준위 방폐물 기술개발' 맞손

원자력환경공단-원자력연구원 '고준위 방폐물 기술개발' 맞손

고준위방폐물 기술개발, 장비 활용, 인력 교류 등 전방위 협력

고준위방폐물 기술개발 업무협약식 참석자들이 단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원자력환경공단 제공고준위방폐물 기술개발 업무협약식 참석자들이 단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원자력환경공단 제공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1일 대전 오노마 호텔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술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원자력환경공단 조성돈 이사장과 원자력연구원 주한규 원장, 양기욱 산업통상자원부 원전전략기획관 등이 참석했다.
 
협약은 지난 3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따라 고준위방폐물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전담 사업자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원자력 분야 국가 연구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기술개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했다.

두 기관은 협약에 따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운반·저장·처분 기술개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을 활용한 기술개발 △보유 시설·장비 상호 활용 △인력·정보 교류 및 교육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강원도 태백시 지하에 건설하는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조감도. 원자력환경공단 제공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강원도 태백시 지하에 건설하는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조감도. 원자력환경공단 제공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지난해 12월 공모 과정을 거쳐 결정한 강원도 태백시 지역의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 부지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 및 기본·실시 설계를 거쳐 2032년까지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고준위 방폐물 관리시설은 지하 환경에서의 장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협약체결에 따라 공단은 보유한 사업역량과 연구원의 기술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부지조사와 처분 분야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사업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조성돈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은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이라는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행핵주기 분야의 모든 기관 간 협력은 필수적인 만큼 이번 MOU가 협력네트워크 구축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기욱 산업통상자원부 원전전략기획관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은 원자력 분야의 가장 큰 숙제로 원자력연구원과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더 큰 책임감을 갖고 고준위 특별법 추진의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포항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