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미래차 전환 대비' 산업 생태계 리모델링 나선다

경북도 '미래차 전환 대비' 산업 생태계 리모델링 나선다

경주서 '미래차 전환 대비 자동차부품 산업 일자리 정책 개발 포럼' 개최

  경상북도 도청 전경. 경북도 제공경상북도 도청 전경.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는 지난 17일 경주 힐튼호텔에서 미래차 전환 대비 자동차부품 산업 일자리 정책 개발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전기·수소차, 자율주행 등 자동차산업의 대변혁을 맞아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고용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일자리 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마련했다. 
   
경북의 자동차부품 기업은 총 1414개로 전국 1만320개의 13.7%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경기도ㆍ경상남도에 이어 3번째 규모이다.
   
이 중 1198개 기업이 경주, 경산, 영천, 칠곡 등 남부권에 집적해 있고, 총 3만6000여명이 종사하고 있는 경북의 주력산업이다. 
   
이에 경북도는 미래차 변환이라는 큰 흐름에 따라 일자리 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기 위해 올해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자동차 부품 기업 현장 인터뷰, 전기차 등 미래차 전환 실태 조사 등을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분석 연구를 추진해 왔다. 
   
이날 포럼에서는 자동차 부품산업에 대한 일자리 정책 발제 및 전문가 토론이 펼쳐졌다. 
   
경주, 영천, 경산, 칠곡 등 자동차부품 산업 집적지 시군 및 관련 연구기관에 그간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일자리 대응전략을 함께 논의했다. 
   
경북 자동차부품 산업 현황 실태조사를 발제한 정창기 부소장은 "지역기업도 미래차로의 전환이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자구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하고 있다"면서도 "기업들은 미래차 전환 추진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투자비 부족, 인력수급, 정보 부족을 꼽았다. 이러한 정책적 수요에 맞춘 지원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외 사례를 통한 자동차부품산업 전환 일자리 전략 및 정책 시사점'를 발제한 이문호 워크인조직혁신연구소 소장은 울산 오토밸리 4.0, 독일자동차 산업 대전환, 일본 시즈오카현의 차세대 자동차 시대 대응 지역 중소기업지원정책 사례를 소개하며, 우리 지역이 적용할 만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이어 '경북 자동차부품산업 미래차 대응 상황 및 일자리 혁신 전략 기술'을 발제한 조임숙 희망제작소 박사는 미래차 지원센터 등 컨트럴 타워 설치, 수출진흥단 운영, 전기차 분해조사 설명회 및 상설 전시장 운영, 미래차 전환 종합 정보 플랫폼 구축 등의 대응 전략안을 제시했다.
   
'경북형 상생형 일자리 전략 및 사업 제안'을 발제한 안성은 전북대 교수는 "지역 기업들도 경북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 인식이 높은 만큼, 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통한 기업 투자 유치가 미래차 대비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에서는 박병기 코로나19대응 고용회복지원반장이 직접 참석해 지방정부의 미래차 대응 전략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행사에 참석한 김호진 경주시 부시장, 윤문조 영천시 부시장, 김주령 경산시 부시장, 유수호 칠곡군 부군수는 발제 내용에 깊이 공감하며, 도와 시군이 함께 미래차 전환에 발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미래차 전환이라는 거대한 변화 속에서 중앙정부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우리 스스로 고민해 미리 대응하고 준비해야만 대전환 시기에 기회를 붙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포항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